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교육공무원 연금 수령액 시기 계산법


오랫동안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헌신해오신 분들에게 퇴직 후 받게 되는 연금은 단순한 금전이 아니라 그동안의 노력에 대한 보답 같은 거예요. 그래서 언제부터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함은 당연할 수밖에 없죠. 특히 근속기간이 길거나 퇴직 시점이 조금 애매할 때는 계산이 복잡하게 느껴지기도 해요. 연금이 언제부터 지급되고 매달 얼마씩 받을 수 있는지에 따라 이후의 생활 계획이 달라질 수 있어서 더 신경 쓰이기도 합니다. 한 번 받기 시작하면 오랜 시간 이어지는 금액이니 만큼 정확히 알아두는 게 좋겠죠.

 

교육공무원 연금 수령액 시기 계산법

 

교육공무원 연금 수령액 시기 계산법

 

내가 언제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보는 방법이에요. 근무한 기간이나 퇴직 시점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확인해두는 게 좋아요. 이런 계산은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해볼 수 있답니다. 연금 예상액과 지급 시작 시기를 확인할 수 있어서 미리 준비하는 데 도움이 돼요.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연금공단

www.geps.or.kr

 

1. 퇴직 이후 받을 연금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메뉴에서 '사업안내' 항목을 찾아보시면 돼요.

 

 

2. '사업안내' 메뉴로 들어가면 연금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들이 나오는데요. 이 중에서 ‘연금수급’ 부분을 선택하시면 돼요. 필요한 정보들이 이곳에 잘 정리되어 있답니다.

 

 

3. 연금은 매달 25일에 입금되며 본인 명의의 계좌로 들어와요. 다만 토요일이나 쉬는 날이면 하루 앞당겨져서 지급돼요. 계좌를 바꾸고 싶을 땐 20일까지 신청하면 그달부터 적용돼요.

 

 

4. 10년 이상 근무 후 퇴직한 경우 개시연령에 맞춰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퇴직 시기별로 연금이 시작되는 나이가 다르니 미리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5. 퇴직 시기를 기준으로 세 시기로 나눠 연금월액을 따로 계산하게 돼요. 각각의 기간별로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연도별 규정을 잘 확인하셔야 해요.

 

 

6. 연금 개시연령보다 먼저 받고 싶은 경우 일정 비율만큼 줄어든 금액으로 받을 수 있어요. 최대 25%까지 줄어들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돼요.

 

 

7. 결혼생활이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는 연금 일부를 나누어 받을 수도 있어요. 다만 조건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리 알아보는 게 좋아요.

 

 

8. 연금액은 매년 1월 소비자물가에 따라 달라져요. 전년도 기준으로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에 따라 그만큼 연금도 조정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