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부수로 한자찾기 총 획수로


가끔 길을 걷거나 책을 읽다가 모르는 한자를 마주치면 난감할 때가 있어요. 어떻게 읽어야 할지, 또 어떻게 써서 찾아봐야 할지 막막해서 그냥 지나친 경험이 다들 있으실 텐데요. 하지만 이제는 글자의 모양만 보고도 어떤 한자인지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부수로 한자찾기 총 획수로

 

부수로 한자찾기 총 획수로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부수와 글자의 총 획수를 활용해 모르는 글자를 찾아보는 방식이에요. 음이나 뜻을 몰라도 글자의 생김새만으로 검색할 수 있죠. 이 방식은 다음 한자사전 홈페이지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다음 사전

 

1. 다음 한자사전 첫 화면에서 '한자'를 선택하면 한자 전용 검색 화면으로 바뀝니다. 여기서 검색창 오른쪽에 있는 '요소검색'이라는 글자를 찾아서 들어가 주세요. 이제부터 글자를 이루는 부분들을 조합해서 원하는 한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 '요소검색' 화면으로 들어오면, 왼쪽에는 부수, 가운데는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획수, 오른쪽에는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검색 결과가 비어있는 상태로 나타납니다.

 

 

3. 먼저 화면 왼쪽의 부수 목록에서 내가 찾으려는 한자에 들어가는 부수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冂(멀경몸)' 부수가 들어간 글자를 찾는다면 해당 부수를 선택해 주세요. 그러면 오른쪽에 이 부수를 포함하는 수많은 한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4. 부수를 골랐다면, 이제 가운데 영역에서 부수를 뺀 나머지 부분의 획수를 골라야 합니다. 찾으려는 글자의 나머지 부분이 3획이라면, '彡(터럭 삼)'을 고르면 됩니다. 이 조건을 더해주면 오른쪽에 보이던 많은 한자들이 몇 개로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좁혀진 결과 목록에서 찾으려고 했던 한자를 발견했다면, 해당 글자를 눌러주세요. 여기서는 '弐'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검색창 아래에 해당 한자의 음과 뜻, 총획수, 부수 등 기본적인 정보가 간략하게 나타나 내가 찾던 글자가 맞는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6. 요약 정보를 통해 찾던 글자가 맞다고 확인되면, 상세 페이지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弐'라는 한자가 총 4획이며, 부수는 '弋(주살 익)'으로 3획이라는 점 등 한자의 구조와 쓰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부수와 획수를 활용하면 아무리 낯선 한자라도 금방 그 정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읽지 못하는 한자 앞에서 당황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몇 번 해보면 금방 익숙해져서 앞으로 한자를 만날 때마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